헝가리 제2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가리 제2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6년부터 1949년까지 헝가리에 존재했던 짧은 기간의 공화국이다. 1944년 소련군 점령 이후, 헝가리 임시 국민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극심한 초인플레이션과 경제 위기를 겪었다. 1945년 총선에서 독립 소작농당이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헝가리 공산당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권력을 장악해갔다. 공산당은 살라미 전술을 통해 정적을 제거하고, 1948년 사회민주당과의 합당을 통해 헝가리 노동자당을 창당하며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1949년 헝가리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제2공화국은 종식되었다. 이 기간 동안 헝가리는 독일계 소수 민족을 추방하고, 경제를 사회주의화하는 과정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헝가리 제2공화국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헝가리 공화국 |
로마자 표기 | 머저르 쾨스타르셔샤그 |
다른 로마자 표기 | 마쇼디크 머저르 쾨스타르셔샤그 |
존속 기간 시작 | 1946년 2월 1일 |
존속 기간 끝 | 1949년 8월 20일 |
이전 국가 | 헝가리 왕국 |
이전 국기 | Flag of Hungary (1915-1918, 1919-1946).svg |
다음 국가 | 헝가리 인민공화국 |
다음 국기 | Flag of Hungary (1949-1956).svg |
![]() | |
![]() | |
국가 | 찬가 [[File:Hungarian national anthem, performed by the United States Navy Band (May 1997 arrangement).oga|헝가리 국가]] |
수도 | 부다페스트 |
공용어 | 헝가리어 |
종교 | 기독교(다수) 유대교(소수) |
통화 | 펭괴, 어도펭괴 포린트 |
시간대 | (표기 없음) |
면적 (1947년) | 93,011 km² |
면적 (1949년) | 93,030 km² |
인구 (1949년) | 9,204,799 명 |
현재 국가 | 헝가리 슬로바키아 |
주석 | 미클로시 호르티 데 나지바냐는 에드문트 베젠마이어에게 포획되어 1944년 10월 15일에 폐위될 때까지 1920년부터 섭정으로 통치했다.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 의회 공화국 지배 정당 사회주의 과두정치 (1947–1949) |
대통령 | 티르디 졸탄 (1946–1948), 서커시치 아르파드 (1948–1949) |
총리 | 나지 페렌츠 (1946–1947), 디네시 러요시 (1947–1948), 도비 이슈트반 (1948–1949) |
입법부 | 국회 |
역사 | |
시대 | 냉전 |
사건 시작 | 군주제 폐지 (1946년 2월 1일) |
사건 끝 | 인민 공화국 (1949년 8월 20일) |
주요 사건 1 | 파리 평화 조약 (1947년 2월 10일) |
주요 사건 2 | 공산주의 쿠데타 (1947년 5월 31일) |
주요 사건 3 | 청색 투표 용지 선거 (1947년 8월 31일)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소련군은 1944년 9월부터 1945년 4월까지 헝가리를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1944년 12월 21일 데브레첸에 대체 정부가 수립되었고, 졸탄 틸디가 임시 총리가 되었다.[5] 부다페스트 포위전은 거의 두 달 동안 지속되었으며, 도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에 따라 헝가리의 국경은 1938년 이전으로 되돌아갔고,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일부는 소련에 합병되었다. 소련은 헝가리에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요구했다.[6]
1945년과 1946년 사이, 헝가리는 역사상 최악의 초인플레이션을 겪었다.[7] 전쟁 배상금 지불과 조세 징수 체계의 취약성으로 인해 펜괴는 붕괴되었다.[7] 1946년 포린트가 도입되어 경제가 안정되었다.
1945년 선거에서 독립 소작농당이 승리했지만, 헝가리 공산당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권력을 장악했다.[11] 이들은 '살라미 전술'을 통해 야당 지도자들을 제거하고,[11] 1947년 선거에서 최대 단일 정당이 되었다. 1948년 6월, 공산당은 사회민주당과 합당하여 헝가리 노동자당을 창당했고, 1949년 헝가리 인민 공화국을 수립하여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1946년부터 1948년까지 헝가리 내 독일인들은 강제 추방되었고(독일인 추방),[9]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 간에는 강제 인구 교환이 이루어졌다.[10]
2. 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헝가리 점령 (1944-1945)
유럽 전선의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인 1944년 9월부터 1945년 4월까지 소련군이 헝가리를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1944년 12월 21일 데브레첸에 대체 정부가 수립되었고, 졸탄 틸디가 임시 총리가 되었다.[5] 부다페스트 포위전은 거의 두 달 동안 지속되었으며, 도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1947년 헝가리가 체결한 평화 조약에서 서방 연합군과 소련 모두 1938년 이전 헝가리 국경의 변경을 지지하지 않았으므로, "1938년 11월 2일 비엔나 중재의 결정은 무효로 선언된다"고 명시되었다.[4] 이는 헝가리의 국경이 1938년 1월 1일의 국경으로 되돌아가고, 1938년부터 1941년 사이에 되찾았던 영토를 잃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련은 1938년 이전에 헝가리의 일부였던 카르파트 루테니아 일부를 합병했다.
소련은 헝가리에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요구했다. 소련 정부는 소련으로부터 가져간 모든 물자의 반환뿐만 아니라 모스크바에 3억달러, 체코슬로바키아에 2억달러, 루마니아에 1억달러 상당의 상품을 지불할 것을 요구했다.[6]
2. 2. 초인플레이션과 경제 위기 (1945-1946)
1945년과 1946년 사이 헝가리의 화폐인 펜괴는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붕괴되었다.[7] 이는 전쟁 배상금 지불을 위한 자금 수요가 급증한 데다 조세 징수 체계가 매우 취약했기 때문이다.[7]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것이 소련이 헝가리 중산층을 파괴하기 위한 의도적인 정책이었다고 주장한다.[8]헝가리는 전쟁 피해와 소련군의 약탈로 인해 국가 자산의 40%를 상실했으며, 소련군 주둔 비용과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더욱이 전시 중 헝가리는 독일의 경제권에 완전히 편입되어 독일 경제의 붕괴가 헝가리 경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를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새로운 통화를 발행하는 것이었고, 1946년에 포린트가 도입되었다.
인플레이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946년 1월에는 아도펜괴(헝가리어: adópengő)가 도입되었지만, 인플레이션은 더욱 맹렬한 속도로 진행되었다.
인플레이션율은 960,000垓%에 달했으며,[17] 이 기록을 넘어서는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현재 발생하지 않고 있다. 1946년 8월 1일 신통화 포린트가 도입되어 1 포린트 = 40양 펜괴의 환율로 교환됨으로써 인플레이션이 진정되었다.
2. 3. 공산당의 권력 장악과 일당 독재 체제 구축 (1947-1949)
1945년 11월 선거에서 독립 소작농당이 57%의 득표율로 승리했지만, 헝가리 공산당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연립 정부에서 핵심 요직을 차지했다.[11] 라코시 마티아슈는 부총리가 되었고, 라이크 라슬로는 내무장관이 되어 국가보안경찰(ÁVO)을 설립하여 정치 경찰의 권력을 장악했다.1947년 2월, 경찰은 소작농당과 국민농민당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파시스트"로 몰아 당에서 제거하는 등 압력을 가했다.[11] 이 과정에서 많은 저명 인사들이 해외로 탈출했으며, 라코시는 이를 '"살라미처럼 한 조각씩 잘라냈다"'고 표현했다.[11]
1947년 선거에서 공산당은 최대 단일 정당이 되었고, 연립 정부인 인민 독립 전선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나지 페렌츠는 총리직을 딘녜시 라요슈에게 넘겨주었다. 1947년 10월, 라코시는 비공산당 지도자들에게 공산당 주도의 새 정부에 협력하거나 망명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12]
사회민주당은 사실상 해체되었고, 독립 소작농당 서기장 코바치 벨라는 체포되어 시베리아로 추방되었다.[13] 케틀리 안나, 나지 페렌츠, 사보 이슈트반 등 다른 야당 지도자들도 투옥되거나 망명했다.[14]
1948년 6월, 공산당은 사회민주당과 합당하여 헝가리 노동자당을 창당했다. 1949년 5월 총선에서 공산당 중심의 인민전선이 압승했고, 8월에는 헝가리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헝가리 제2공화국은 막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유고슬라비아와의 갈등으로 라이크 라슬로 등 민족파 공산주의자들이 숙청되기도 했다.[16]
2. 4. 헝가리 내 독일계 소수 민족 추방 (1946-1948)
1946년부터 1948년까지 헝가리에 거주하던 독일계 소수 민족 약 25만 명[9] 중 절반 가량이 독일로 강제 추방되었으며,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 간에는 강제 인구 교환이 이루어졌다.[10] 이 과정에서 24만 명의 독일인이 인구 교환이라는 명목 하에 체코슬로바키아로 강제 이주되었다(독일인 추방).3. 경제
헝가리는 전쟁 피해와 소련군의 약탈로 인해 국가 자산의 40%를 상실했으며, 소련군 주둔 비용과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더욱이 전시 중 헝가리는 독일의 경제권에 완전히 편입되어 독일 경제의 붕괴가 헝가리 경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1945년 5월 1일 우편 요금은 1펜괴(pengő)였지만, 7월 1일에는 3펜괴, 이듬해인 1946년 1월에는 600펜괴에 달했다.[17] 1946년 1월 헝가리 아도펜괴가 도입되었지만, 인플레이션은 더욱 맹렬한 속도로 진행되어 3월에는 2만 펜괴, 5월에는 200만 펜괴, 7월에는 40조 펜괴에 달했다.[17] 인플레이션율은 960,000垓%에 달했으며,[17] 이 기록을 넘어서는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현재 발생하지 않고 있다. 8월 1일 신통화 포린트(forint)가 도입되어 1포린트=40양(京)펜괴의 환율로 교환됨으로써 인플레이션이 진정되었다.
1947년부터 3개년 복구 계획이 시작되었고, 모든 은행이 국유화되었다. 1948년부터는 노동자 100명 이상의 광업 및 공업 기업이 국유화되었고, 경작지 면적의 4할이 무상 징발되어 64만 명의 농민에게 분배되는 등 농업의 사회주의화가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같은 해에 경제 규모는 전쟁 전 수준을 회복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art 2: Communist take-over, 1946-1949
http://www.rev.hu/hi[...]
The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the 1956 Revolution
[2]
백과사전
Magyarország határai
Babits Kiadó
[3]
학술지
Az 1990. évi népszámlálás előzetes adatai.
http://www.ksh.hu/st[...]
1990-10-01
[4]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with Hungary
http://www.law.fsu.e[...]
[5]
서적
Hungary from the Nazis to the Soviets: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st Regime in Hungary, 1944-194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5-22
[6]
서적
War Finance, Reconstruction, Hyperinflation and Stabilization in Hungary, 1938-48
Saint Martin's Press
[7]
서적
Hyperinflation in Zimbabwe: Background, Impact and Polic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8]
서적
Macroeconomics for Managers
Allyn and Bacon
[9]
서적
Prague in Black: Nazi Rule and Czech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Forced Migration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1939-19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1]
서적
The Evolution of Nuclear Strategy: New, Updated and Completely Revised
[12]
기술 보고서
Hungary: a country study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Federal Research Division
1989-12-01
[13]
서적
Daily Life Behind the Iron Curtain
ABC-CLIO
[14]
서적
Central and East European Politics From Communism to Democracy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15]
서적
(제목 없음)
[16]
서적
(제목 없음)
[17]
웹사이트
ハイパーインフレへの警戒
http://group.dai-ich[...]
第一生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